2019-05-03[조선일보]수백만년 시간이 빚은… 한탄강은 살아있는 지질 교과서 > 보도자료


보도자료

2019-05-03[조선일보]수백만년 시간이 빚은… 한탄강은 살아있는 지질 교과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78회 작성일 22-08-07 14:35

본문

[뜬 곳, 뜨는 곳] 글로벌 지질생태도시로 변신하는 경기도 포천

진경산수화의 대가(大家) 겸재 정선(1676~1759)이 칠순 넘어 금강산 유람길에 올랐다. 산으로 향하던 그의 발길은 경기도 포천 한탄강 줄기에서 멈춰 섰다. 노화가의 시선을 잡은 것은 볏가리를 쌓아놓은 모양의 백색 바위였다. 붓을 잡은 그의 화폭에서 바위는 솟구치듯 우뚝 섰다. 주위를 절벽이 호위하듯 감쌌다. 바위와 절벽 사이로 한탄강이 휘돌아 흘렀다. 일제 시대 간송 전형필이 200원 달라는 거간꾼에게 "큰일 해냈다"며 1500원을 주고 샀다는 '해악전신첩'(보물 제1949호)의 작품 '화적연'(禾積淵, 1747)이다.

대가를 사로잡았던 화적연은 포천 한탄강의 지질 명소 11곳 중 하나다. 하천을 품었다 해서 이름이 붙여진 포천(抱川)시는 국내 7번째 국가지질공원인 한탄강과 주변 명소를 중심으로 세계적인 지질 생태 관광 도시로 변신하고 있다. 지난달 18일에는 한탄강 일대의 거점이 될 '포천 한탄강 지질공원센터'(연면적 2840㎡)가 문을 열었다. 국내 유일의 지질공원 전시관이다. 한탄강의 생성 과정과 지질학적 가치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지하 1층~지상 2층 규모로, 사업비 114억원이 들어갔다.

한탄강은 국내 유일의 현무암 협곡 하천이다. 신생대 4기 현무암질 용암이 분출하면서 만들어졌다. 물과 불이 뒤엉키며 주상절리와 현무암 협곡을 빚어냈다. 지질구조가 다양해 살아 있는 지질학 교과서로 불린다. 남한 한탄강 유역의 길이는 86㎞로, 강줄기의 50%가 포천을 가로지른다.

한때 포천은 두 개의 군단 사령부와 부대, 주한미군 종합사격훈련장이 있었다. 장병 4만6000명이 근무했다. 여의도 전체 면적의 77배(222.82㎢)가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지역 개발은 꿈도 못 꿨다. 화적연, 비둘기낭 폭포 인근에는 2000년 무렵까지 군부대 별장이 있었다.

반전의 기회는 2000년대 초반에 왔다. 한탄강댐 개발 사업이 시작되면서 일대 발굴에 들어가자 선사시대 유물이 모습을 드러냈다. 2010년 상수원보호구역이 해제되면서 지질 조사도 함께 진행됐다. 선캄브리아대부터 신생대에 이르기까지 변성암, 화강암, 현무암 등 다양한 암석이 발견됐다. 한탄강 명소 개발 사업의 시작이었다.

지역 주민들도 나섰다. 포천시가 만든 한탄강 매점은 주민들이 관리조합을 만들어 운영한다. 주민 10여 명은 지질공원 해설사로 일한다. 김명숙 대회산리 이장은 "외국인 관광객을 위해 주민들이 간단한 어학 공부도 하고 있다"며 "포천을 널리 알린다는 사명감으로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요즘 포천시청은 7월에 방문할 귀한 손님맞이 준비로 분주하다. 지난해 신청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자격을 따져볼 현장 실사단이다. 국내에서는 제주(2010년), 경북 청송(2017년), 전남 무등산(2018년) 등 3곳이 인증됐다. 포천은 4번째로 도전한다. 결과는 2020년 4월 세계지질공원총회에서 최종 발표된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위원회(UGGC) 소속 이수재 박사는 "유네스코는 지질학적 가치, 역사적 이야기, 생태 환경 등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는 명소를 세계지질공원으로 본다"며 "한탄강 일대는 훌륭한 조건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박윤국 포천시장은 "숨겨진 한탄강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놓쳐선 안 될 기회라는 각오로 유네스코 인증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15만 포천 시민과 함께 포천 한탄강을 글로벌 명소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1659850510_165985051013584d9ee44e457ddef7f2c4f25dc8fa865.jpg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03/2019050300228.html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108)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비둘기낭길 55 (대회산리 298번지) 한탄강세계지질공원센터
E-mail:kyjkjj@korea.kr | Tel:031-538-3030 | Fax : 031-538-3045
박물관 등록번호 : 경기-공립12-2020-02 | Copyright © 포천시 관광과.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