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24[경기신문]포천시 한탄강 홍수터, 지방정원 찍고 국가정원 가자! > 보도자료


보도자료

2021-09-24[경기신문]포천시 한탄강 홍수터, 지방정원 찍고 국가정원 가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90회 작성일 22-08-17 17:44

본문

포천시가 한탄강 홍수터를 지방정원에 이어 국가정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에 첫 발을 내딛었다.

 

시는 24일 2층 포천시 시정회의실에서 '포천 한탄강 지방정원 기본계획 및 타당성 검토 용역 착수보고회'(이하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박윤국 시장과 심창보 부시장, 임우상 한탄강사업소장, 이우석 생태공원과장, 윤숭재 관광사업과장등 관계 부서장 등 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자문위원으로 위촉된 유동환 건국대 교수와 최종희 배제대 교수, 임봉구 서울대 환경생태계획연구센터 센터장은 토론을 통해 한탄강 홍수터 부지가 성공적으로 공원화할 수 있는 실무적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용역사인 ㈜예건엔지니어링의 서민옥 이사는 보고회에서 SWOT 분석을 통해 한탄강 홍수터 부지는 ▲우수한 경관, 다수의 관광자원 인접, 이용가능한 대규모 평탄지 확보의 강점 ▲접근성 불량, 법적 환경적 제약 다수의 약점 ▲연천, 철원과의 시너지 효과, 유네스코 지질공원 등재의 기회 ▲인접지자체와의 경쟁과 유사시설 다수의 위기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서 이사는 이러한 분석 결과 한탄강 홍수터부지는 ▲상징성 ▲차별성 ▲경제성 ▲지속성에 주안점을 두고 공원조성을 해야 한다고 했다.


박윤국 포천시장은 인사말에서 "포천은 국립수목원과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등 2개의 세계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면서 "한탄강 홍수터 부지에 조성하는 정원이 지방정원을 넘어 국가정원으로 등록하는 사업을 추진하면서 보존에도 소홀하지 않도록 해 달라"고 부탁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에 지방정원은 양평 세미원, 담양 죽녹원 2곳이며, 등록 후 사업 추진 중인 곳이 23곳이 있다. 국가정원은 태화강 국가정원, 순천만 국가정원 등 2개이다.

 

지방정원이 되기 위해서는 3종 이상의 정원과 10만㎡ 이상의 총면적을 확보한 후 국토부의 확인을 받아야하고, 지방정원이 된 후 3년간 운영한 후 평가결과 70점이 넘으면서 5종 이상의 정원과 40% 이상의 녹지 면적, 그리고 30만㎡ 이상의 면적을 가진 공원이 국가정원의 자격을 가진다.

 

1660725799_16607257999411385974ed5904a438616ff7bdb3f7439.jpg1660725804_1660725804994eecca5b6365d9607ee5a9d336962c534.jpg

[ 경기신문 = 문석완 기자 ]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 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66848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108)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비둘기낭길 55 (대회산리 298번지) 한탄강세계지질공원센터
E-mail:kyjkjj@korea.kr | Tel:031-538-3030 | Fax : 031-538-3045
박물관 등록번호 : 경기-공립12-2020-02 | Copyright © 포천시 관광과. All rights reserved.